안녕하세요 '로빈슨마케터' 입니다. 추석 연휴는 잘 보내셨나요?
참 아이러니 하게도... 일이 왜 이렇게 많이 쌓였는지.. (분명 다 같이 쉰거 같은데.. 다른 업체에는 명절에도 일했다는 소문이..) 노하우가 없는 초보 마케터는 울고 싶네요. 그래도 강하게 성장해야죠!!
자! 그럼 오늘 포스팅 할 글은 무엇이냐?
바로 BM(brand manger) 브랜드매니저 입니다.
저번 글에서 설명 들였듯이, 초반에 마케팅이라는 단어만 알았지 관련 용어에 대해서는 하나도 몰랐어요. 회사생활 하다 알게 된 부분을 설명 들이는 것이니 틀린 부분도 있을거에요. 그러므로 해당 자료 참고 하실때, 여러 관련 글을 참고 하셔서 보는 것을 추천 드려요.
BM 이란?

정의 : 브랜드 매니저는 이러한 회사 브랜드를 맡아서 제품의 생산에서부터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 다른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등 브랜드와 관련된 모든 과정을 관리하는 사람 또는 그러한 직업을 말한다. 즉 브랜드의 기획·이벤트·홍보·광고·마케팅 등 토털 마케터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조금 쉽게 설명을 들이기 위해 두 가지 로 분류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1. 기존제품
현재 회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기존제품을 여러 방면으로 홍보하기 위해 여러개의 온라인의 채널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 중 제일 많이 사용하는 체널은 인스타, 페이스북, 네이버블로그, 카카오톡 등 많이 사용합니다.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제품 타겟직군이 특이 케이스라 나라 별 홍보관(전시회), 유튜브 체널, 카달로그를 메인으로 활용하여 홍보하고 있습니다. (우리 제품을 사용했을 때 END USER에게 줄 수 있는 사용 시간단축, 비용절감 등 초점에 맞춰 영상제작)

2. 신제품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좌우 할 신제품 기획을 할 때는 회사마다 다르기는 하나 보통 생산관리, 연구소, 마케팅(PM, BM), 영업소 들이 서로 장기간의 협의 끝에 제품 컨셉이 정합니다. (물론 사전조사를 엄청 준비 해서 가겠죠?)
그러면 조금 더 디데일 하게 각자 맡은 업무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구분
|
설명
|
||
생산관리
|
- 제품을 생산에 필요한 자재 및 원료 관리를 위해 제품 납기 일정 조율.
|
||
연구소
|
- 고객needs를 반영하여 신제품 기획 시 기술적 부분 현실 가능성 판단 여부.
|
||
마케팅
|
- 경쟁사 조사 및 현재 시장동향 파악.
ex) 자동차 내연기반에서 수소, 전기차로 넘어가는 추세, 언택트 시장 확대
|
||
영업소
|
- END 유저를 직접 만나는 부서로써, 기존의 사용되고 있는 제품의 장단점을 디테일하게 잘 알고 있음.
|
3. 필요한능력
- 정보력 : 종사하고 있는 업계 동향 실시간 파악 및 트랜드 파악
* 회사에서 브랜드 매니저에게 요구하는 능력은 시장동향 파악 즉 정보력을 기대를 많이 합니다. 정보를 많이 알려면, 소통하는 스킬이 많이 요구 되겠죠.
- 전달표현 능력 : 보고서 작성 능력
* 알아낸 정보를 팀장 및 팀원들에게 보고를 하기 위해 도식화 시킬 수 있는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대시보드, 도해활용)

'마케팅 > 마케팅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마케팅 - 퍼포먼스마케터 역량 (0) | 2022.03.01 |
---|---|
국내외 시장 조사 프로세스 (0) | 2022.02.18 |
마케팅 직무 - 신제품개발(NPD) (0) | 2022.02.15 |
마케팅 직무 - 머천다이저(MD) (0) | 2022.02.15 |
마케팅 직무 소개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