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코로나19로 인해 자택근무 및 집 생활하는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 나면서 e-커머스 분야는 작년대비 매출이 급격히 성장 되면서 언택트 시장에 이른 바람을 불어 왔습니다. (언택트 시장은 미래의 먹거리 시장이였으나, 코로나19의 변수로 인해 이르게 급격한 성장을 이루면서 코로나19 이전 시대로 돌아가와도 유지 및 꾸준한 성장을 할 것이라 생각)
그리고 이로 인해, 취업하기 힘든 상황에서도 MD직군, 개발자의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먼저 MD의 정의를 말씀드릴게요.
MD란?
MD(Merchandiser, 머천다이저)는 기업의 마케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정상품과 서비스를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장소, 시기, 가격, 수량을 시장에 제공하는 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제품 및 상품을 기획 및 관리를 하여 기업 매출에 보탬이 될수 있게 하는 직무 입니다. (신제품관리, 매출확대전략)
자! 그럼 조금 더 디테일 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off-line & on-line)
구분
|
설명
|
비고
|
오프라인
|
제품을 직접 생산하여 대리점, 영업소를 주체로 하여 매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자사몰 운영, 스마트 스토어 운영.
|
디스커버리, 나이키, 디월트
|
온라인
|
(buying & condignment) / 제품, 상품을 위탁하여 판매 그리고 상품을 매입을 통해 중간 유통을 관리 하면서 소비자들에게 상품 전달.
- CM(category Manager), BM(Brand Manager)
|
이베이, 위메프,
쿠팡, 티몬 |
** PM은 MD 보다 상위 개념 (Product Manager 저희 회사는 주로 팀장의 직무)

1. 주 업무 내용
구분
|
설명
|
비고
|
소비자 Needs 및
소비패턴 파악 |
- 다양한 시장조사, 박람회 전시회 참석, 데이터 분석
|
|
정확한 수요예측
|
- 전 매출데이터, 세계이슈사항(코로나19, 중미무역전쟁)을 방탕으로 하여 재고확보, 생산현황파악, 업계동향 분석을 통해 수요 예측.
- 영업, 마케팅 부서와 협업하여 프로모션 등을 진행 후 재고에 대한 손익 재고관리 까지 담당.
|
|
제품선정, 바잉
& 소싱 |
- 제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 또 국내외 협력사를 발굴하고 계약.
(공급자 선정 > 구매상품 결정 > 구매수량확정> 구매)
|
|
트렌드 분석
|
- 지속적인 정보 습득 및 변화하는 시장 현황 파악
|
2. 필요한 능력
- 트렌드를 정확히 읽어낼수 있는 분석력
* 저같은 경우 매일 코트라에 들어가서 현 해외이슈상황을 정리하고, 국내 업계 상황을 수시로 체크하면서 동향 체크 (IMF, 세계무역협회 사이트 주로 사용)
- 담당 품목에 대한 관심과 이해력
* 제일 베스트 사황은 제품의 END유저를 파악하여 서베이 조사 및 제품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다음 신제품 출시에 보완 상황을 체크하여 생산, 연구소의 협의 해서 진행
- 어학 능력
*기업에서 해외매출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해외 시장동향 파악 및 타국지사 사람들과의 소통을 위해 필요
이렇게 짧게 나마 MD에 대한 직무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저도 업무를 배우고 있는 입장이라 아직 모르는게 많으나, 저의 이야기가 100% 맞는 이야기가 아니니 참고사항으로 글을 읽어 주셨으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마케팅 > 마케팅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마케팅 - 퍼포먼스마케터 역량 (0) | 2022.03.01 |
---|---|
국내외 시장 조사 프로세스 (0) | 2022.02.18 |
마케팅 직무 - 신제품개발(NPD) (0) | 2022.02.15 |
마케팅 직무 - 브랜드매니저(BM) (0) | 2022.02.15 |
마케팅 직무 소개 (0) | 2022.02.15 |